오늘은 순열을 이용한 완전탐색이다.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7946
XX게임에는 피로도 시스템(0 이상의 정수로 표현합니다)이 있으며, 일정 피로도를 사용해서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각 던전마다 탐험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필요 피로도"와 던전 탐험을 마쳤을 때 소모되는 "소모 피로도"가 있습니다.
"최소 필요 피로도"는 해당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 가지고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피로도를 나타내며,
"소모 피로도"는 던전을 탐험한 후 소모되는 피로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최소 필요 피로도"가 80, "소모 피로도"가 20인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서는
유저의 현재 남은 피로도는 80 이상 이어야 하며, 던전을 탐험한 후에는 피로도 20이 소모됩니다.
이 게임에는 하루에 한 번씩 탐험할 수 있는 던전이 여러개 있는데,
한 유저가 오늘 이 던전들을 최대한 많이 탐험하려 합니다.
유저의 현재 피로도 k와 각 던전별 "최소 필요 피로도", "소모 피로도"가 담긴 2차원 배열 dungeons 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유저가 탐험할수 있는 최대 던전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k는 1 이상 5,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dungeons의 세로(행) 길이(즉, 던전의 개수)는 1 이상 8 이하입니다.
- dungeons의 가로(열) 길이는 2 입니다.
- dungeons의 각 행은 각 던전의 ["최소 필요 피로도", "소모 피로도"] 입니다.
- "최소 필요 피로도"는 항상 "소모 피로도"보다 크거나 같습니다.
- "최소 필요 피로도"와 "소모 피로도"는 1 이상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서로 다른 던전의 ["최소 필요 피로도", "소모 피로도"]가 서로 같을 수 있습니다.
풀이 접근
우선 던전들의 순열을 전부 찾아야한다.
최소 필요 피로도나 소모 피로도를 기준으로 정렬해서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여기서는 순열 함수가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문제를 풀어보자.
아래 함수를 통해 순열 리스트를 반환받는다고 하자.
permutation(data: dungeons)
순열을 순회하면서 최대값을 갱신한다.
permutation(data: dungeons).reduce(into: 0) { result, dungeons in
// 순열 순회
result = max(result, dungeonCount)
}
하나의 순열 요소는 던전의 묶음이다.
따라서 순열 요소 자체를 탐색하며서 피로도 조건이 맞지 않으면 던전 탐색을 멈추고 다음 순열로 넘어간다.
그리고 순열 요소마다 개수를 갱신한다.
var f = k
var dungeonCount = 0
for dungeon in dungeons {
if f >= dungeon.first! {
f -= dungeon.last!
dungeonCount += 1
} else { break }
}
result = max(result, dungeonCount)
위 코드에서 봤듯 Swft코드에서는 reduce를 이용하여 바로 반환시켰다.
순열과 조합 함수에 대한 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자.
[Algorithm] Permutation & Combination(순열과 조합)
순열과 조합 코드를 작성해보자.Python에서 직접 코드를 작성할 필요가 없다.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data = [1, 2, 3]list(permutations(data, 2)) # (1, 2), (1, 3), (2, 1), ...list(combinatio
littlemoom.tistory.com
최종 코드 - Swift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k:Int, _ dungeons:[[Int]]) -> Int {
permutations(
data: dungeons,
count: dungeons.count
)!.reduce(into: 0) { result, dungeons in
var f = k
var dungeonCount = 0
for dungeon in dungeons {
if f >= dungeon.first! {
f -= dungeon.last!
dungeonCount += 1
} else { break }
}
result = max(result, dungeonCount)
}
}
func permutations<T>(data: [T], count: Int) -> [[T]]? {
guard data.count >= count else { return nil }
var result: [[T]] = []
var buffer: [T] = []
var visited = Array(repeating: false, count: data.count)
func nextElement() {
if buffer.count == count {
result.append(buffer)
return
}
for i in 0..<data.count {
if !visited[i] {
visited[i] = true
buffer.append(data[i])
nextElement()
buffer.removeLast()
visited[i] = false
}
}
}
nextElement()
return result
}
최종 코드 - Python3
Python에서는 순열 함수를 제공한다.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def solution(k, dungeons):
result = 0
p = permutations(dungeons, len(dungeons))
for dungeonSet in p:
tempResult = 0
tempK = k
for d in dungeonSet:
if d[0] <= tempK:
tempK -= d[1]
tempResult += 1
else: break
result = max(result, tempResult)
return result
Conclusion
Python3은 다양한 로직과 데이터 구조를 제공하고, 변수의 활용에 있어서도 문법적으로 조금 자유로운 편이다.
그래도 Swift가 더 편한건 어쩔 수 없다.

'Data Structure & Algorithm > 코테 스터디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99클럽 코테 스터디 24일차 TIL]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 - 프로그래머스 (2) | 2024.11.20 |
---|---|
[99클럽 코테 스터디 23일차 TIL] 소수 찾기 - 프로그래머스 (0) | 2024.11.19 |
[99클럽 코테 스터디 21일차 TIL] 카펫 - 프로그래머스 (0) | 2024.11.17 |
[99클럽 코테 스터디 20일차 TIL] 모의고사 - 프로그래머스 (2) | 2024.11.16 |
[99클럽 코테 스터디 19일차 TIL] 강의실 - 백준 1374 (1) | 2024.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