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y
프로그래뭄
_Rey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18)
    • Life (2)
    • iOS (49)
      • iOS (13)
      • Swift (19)
      • UIKit (0)
      • RxSwift (6)
      • SwiftUI (11)
    • Design Pattern (14)
      • GoF - Creational Patterns (6)
      • GoF - Structural Patterns (7)
    • Data Structure & Algorithm (48)
      • Data Structure (3)
      • Algorithm (8)
      • Advent of Code 2024 (1)
      • 코테 스터디 TIL (36)
    • English (2)
    • Book (2)
      • Clean Architecture (2)

블로그 메뉴

  • Instagram
  • Github
  • Naver Blog

공지사항

  • Hello, Programoom

인기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_Rey

프로그래뭄

Data Structure & Algorithm/코테 스터디 TIL

[99클럽 코테 스터디 20일차 TIL] 모의고사 - 프로그래머스

2024. 11. 16. 13:14

오랜만에 프로그래머스 문제가 나왔다. 키워드는 완전탐색이다.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40

수포자는 수학을 포기한 사람의 준말입니다. 
수포자 삼인방은 모의고사에 수학 문제를 전부 찍으려 합니다. 
수포자는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 다음과 같이 찍습니다.

1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1, 2, 3, 4, 5, 1, 2, 3, 4, 5, ...
2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2, 1, 2, 3, 2, 4, 2, 5, 2, 1, 2, 3, 2, 4, 2, 5, ...
3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3, 3, 1, 1, 2, 2, 4, 4, 5, 5, 3, 3, 1, 1, 2, 2, 4, 4, 5, 5, ...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의 정답이 순서대로 들은 배열 answers가 주어졌을 때, 
가장 많은 문제를 맞힌 사람이 누구인지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시험은 최대 10,000 문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문제의 정답은 1, 2, 3, 4, 5중 하나입니다.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여럿일 경우, return하는 값을 오름차순 정렬해주세요.

풀이 접근

일단 세명의 정답 패턴을 정해놓고 시작한다.

let a = [1,2,3,4,5]
let b = [2,1,2,3,2,4,2,5]
let c = [3,3,1,1,2,2,4,4,5,5]

그리고 정답을 돌면서 정답 개수를 세면 된다.

index를 정답 패턴의 길이로 나눠주면 순조롭게 탐색이 가능하다.

let anwserCount = answers.enumerated().reduce([0,0,0]) {
    [
        $1.element == a[$1.offset % a.count] ? ($0[0] + 1) : $0[0],
        $1.element == b[$1.offset % b.count] ? ($0[1] + 1) : $0[1],
        $1.element == c[$1.offset % c.count] ? ($0[2] + 1) : $0[2],
    ]
}

가독성이 조금 떨어지는데 아래 Python코드를 읽는게 조금 더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이후 최대값에 해당하는 index를 모아서 반환한다.

return anwserCount.enumerated().compactMap {
    ($0.element == anwserCount.max()) ? ($0.offset + 1) : nil
}

최종 코드 - Swift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answers:[Int]) -> [Int] {
    let a = [1,2,3,4,5]
    let b = [2,1,2,3,2,4,2,5]
    let c = [3,3,1,1,2,2,4,4,5,5]

    let anwserCount = answers.enumerated().reduce([0,0,0]) {
    [
        $1.element == a[$1.offset % a.count] ? ($0[0] + 1) : $0[0],
        $1.element == b[$1.offset % b.count] ? ($0[1] + 1) : $0[1],
        $1.element == c[$1.offset % c.count] ? ($0[2] + 1) : $0[2],
    ]
    }
    return anwserCount.enumerated().compactMap {
        ($0.element == anwserCount.max()) ? ($0.offset + 1) : nil
    }
}

최종 코드 - Python3

def solution(answers):
    a = [1,2,3,4,5]
    b = [2,1,2,3,2,4,2,5]
    scores = [0,0,0]
    c = [3,3,1,1,2,2,4,4,5,5]
    for i in range(len(answers)):
        scores[0] += 1 if answers[i] == a[i % len(a)] else 0
        scores[1] += 1 if answers[i] == b[i % len(b)] else 0
        scores[2] += 1 if answers[i] == c[i % len(c)] else 0
    maxScore = max(scores)
    result = []
    for i in range(len(scores)):
        if scores[i] == maxScore:
            result.append(i+1)
    return result

Conclusion

다시보니 가독성이 좀 떨어지는거 같아 실제 코딩테스트에서는 고차함수 사용을 조금 피해야겠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Data Structure & Algorithm > 코테 스터디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99클럽 코테 스터디 22일차 TIL] 피로도 - 프로그래머스  (0) 2024.11.18
[99클럽 코테 스터디 21일차 TIL] 카펫 - 프로그래머스  (0) 2024.11.17
[99클럽 코테 스터디 19일차 TIL] 강의실 - 백준 1374  (1) 2024.11.15
[99클럽 코테 스터디 18일차 TIL] 센서 - 백준 2212  (1) 2024.11.14
[99클럽 코테 스터디 17일차 TIL] 밤양갱 - 백준 31926  (1) 2024.11.13
    'Data Structure & Algorithm/코테 스터디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99클럽 코테 스터디 22일차 TIL] 피로도 - 프로그래머스
    • [99클럽 코테 스터디 21일차 TIL] 카펫 - 프로그래머스
    • [99클럽 코테 스터디 19일차 TIL] 강의실 - 백준 1374
    • [99클럽 코테 스터디 18일차 TIL] 센서 - 백준 2212
    _Rey
    _Rey
    잘 배워서 다 남주자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