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코딩스터디도 끝나간다. 다음 스터디는....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2410
2021 KAKAO BLIND RECRUITMENT
카카오에 입사한 신입 개발자 네오는 "카카오계정개발팀"에 배치되어,
카카오 서비스에 가입하는 유저들의 아이디를 생성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네오"에게 주어진 첫 업무는 새로 가입하는 유저들이 카카오 아이디 규칙에 맞지 않는 아이디를 입력했을 때,
입력된 아이디와 유사하면서 규칙에 맞는 아이디를 추천해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카카오 아이디의 규칙입니다.
- 아이디의 길이는 3자 이상 15자 이하여야 합니다.
-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 숫자, 빼기(-), 밑줄(_), 마침표(.) 문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단, 마침표(.)는 처음과 끝에 사용할 수 없으며 또한 연속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네오"는 다음과 같이 7단계의 순차적인 처리 과정을 통해
신규 유저가 입력한 아이디가 카카오 아이디 규칙에 맞는 지 검사하고
규칙에 맞지 않은 경우 규칙에 맞는 새로운 아이디를 추천해 주려고 합니다.
신규 유저가 입력한 아이디가 new_id 라고 한다면,
1단계 new_id의 모든 대문자를 대응되는 소문자로 치환합니다.
2단계 new_id에서 알파벳 소문자, 숫자, 빼기(-), 밑줄(_), 마침표(.)를 제외한 모든 문자를 제거합니다.
3단계 new_id에서 마침표(.)가 2번 이상 연속된 부분을 하나의 마침표(.)로 치환합니다.
4단계 new_id에서 마침표(.)가 처음이나 끝에 위치한다면 제거합니다.
5단계 new_id가 빈 문자열이라면, new_id에 "a"를 대입합니다.
6단계 new_id의 길이가 16자 이상이면, new_id의 첫 15개의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들을 모두 제거합니다.
만약 제거 후 마침표(.)가 new_id의 끝에 위치한다면 끝에 위치한 마침표(.) 문자를 제거합니다.
7단계 new_id의 길이가 2자 이하라면, new_id의 마지막 문자를 new_id의 길이가 3이 될 때까지 반복해서 끝에 붙입니다.
[문제]
신규 유저가 입력한 아이디를 나타내는 new_i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네오"가 설계한 7단계의 처리 과정을 거친 후의 추천 아이디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new_id는 길이 1 이상 1,00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new_id는 알파벳 대문자, 알파벳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new_id에 나타날 수 있는 특수문자는 -_.~!@#$%^&*()=+[{]}:?,<>/ 로 한정됩니다.
풀이 접근
순수 구현 문제였다.
단계별로 살펴보자.
1단계 - 모든 대문자를 대응되는 소문자로 치환합니다.
var newID = new_id.lowercased()
변수 정의에서부터 소문자로 바꿔준다.
2단계 - 알파벳 소문자, 숫자, 빼기(-), 밑줄(_), 마침표(.)를 제외한 모든 문자를 제거합니다.
var characterSet = CharacterSet.lowercaseLetters
characterSet.formUnion(.decimalDigits)
characterSet.insert(charactersIn: ".-_")
newID = newID.filter { characterSet.contains($0.unicodeScalars.first!) }
CharacterSet을 이용해준다. 알파벳과 숫자는 지원하고 나머지 문자 세 개는 직접 추가한다.
3단계 - 마침표(.)가 2번 이상 연속된 부분을 하나의 마침표(.)로 치환합니다.
var flag = true
newID = newID.filter {
let s = "\($0)"
if s == "." {
if flag {
flag = false
return true
}
} else {
flag = true
}
return flag
}
마침표가 연속되는지 확인하는 flag를 통해 치환한다.
4단계 - 마침표(.)가 처음이나 끝에 위치한다면 제거합니다.
if let f = newID.first, f == "." {
newID.removeFirst()
}
if let l = newID.last, l == "." {
newID.removeLast()
}
앞뒤로 확인해서 제거한다.
removeFirst를 사용할 때 조금 찝찝했다.
5단계 - 빈 문자열이라면, "a"를 대입합니다.
if newID.isEmpty {
return "aaa"
}
비어있으면 "a"를 대입한다.
하지만 코드를 보면 "aaa"를 반환하고 있는데,
문자열이 비어있는 경우에는 이후 단계를 통과하면 반드시 "aaa"의 결과가 나오기 때문이다.
6단계 - 길이가 16자 이상이면, 첫 15개의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들을 모두 제거합니다. 만약 제거 후 마침표(.)가 끝에 위치한다면 끝에 위치한 마침표(.) 문자를 제거합니다.
while newID.count > 15 {
newID.removeLast()
}
if newID.last! == "." {
newID.removeLast()
}
길이가 15가 될 때까지 문자를 제거하고, 마지막이 마침표(.)면 제거한다.
여기에서는 마지막 문자를 확인할 때 4단계와는 다르게 강제 옵셔널 언래핑을 했는데,
이 단계까지 왔다면 길이가 반드시 1이상이기 때문에 괜찮다.
7단계 - 길이가 2자 이하라면, 마지막 문자를 길이가 3이 될 때까지 반복해서 끝에 붙입니다.
if newID.count == 2 {
return "\(newID)\(newID.last!)"
}
if newID.count == 1 {
return "\(newID)\(newID)\(newID)"
}
반복문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이게 더 눈에 잘 들어와서 사용했다.
여기까지 통과했다면 변환된 결과를 반환한다.
return newID
최종 코드 - Swift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new_id:String) -> String {
var newID = new_id.lowercased()
var characterSet = CharacterSet.lowercaseLetters
characterSet.formUnion(.decimalDigits)
characterSet.insert(charactersIn: ".-_")
newID = newID.filter { characterSet.contains($0.unicodeScalars.first!) }
var flag = true
newID = newID.filter {
let s = "\($0)"
if s == "." {
if flag {
flag = false
return true
}
} else {
flag = true
}
return flag
}
if let f = newID.first, f == "." {
newID.removeFirst()
}
if let l = newID.last, l == "." {
newID.removeLast()
}
if newID.isEmpty {
return "aaa"
}
while newID.count > 15 {
newID.removeLast()
}
if newID.last! == "." {
newID.removeLast()
}
if newID.count == 2 {
return "\(newID)\(newID.last!)"
}
if newID.count == 1 {
return "\(newID)\(newID)\(newID)"
}
return newID
}
Conclusion
구현 문제는 항상 풀면서 재밌다.
'Data Structure & Algorithm > 코테 스터디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99클럽 코테 스터디 35일차 TIL] 주사위 윷놀이 - 백준 17825 (0) | 2024.12.01 |
---|---|
[99클럽 코테 스터디 34일차 TIL] 개인정보 수집 유효기간 - 프로그래머스 (1) | 2024.11.30 |
[99클럽 코테 스터디 32일차 TIL] 가장 긴 바이토닉 부분 수열 - 백준 11054 (0) | 2024.11.28 |
[99클럽 코테 스터디 31일차 TIL] 줄세우기 - 백준 2631 (1) | 2024.11.27 |
[99클럽 코테 스터디 30일차 TIL] 상자넣기 - 백준 1965 (0) | 2024.11.26 |